top of page

사막화 원인

The Origin of The Desertification 

1

유목 중심

생활 방식

 유목 중심 생활 방식은 사막화의 원인 중 하나이다. 역사에서 돌궐 혹은 흉노를 비롯한 유목생활을 위주로 한 민족들도 지역의 식물이 소모되면, 가축들을 이끌고 거주지를 다른 지역으로 옮긴다. 그러나, 지역의 식물 자원이 인구와 가축의 증가를 감당할 수 없을 시, 식물의 수량과 재생능력이 줄어들면서, 사막화를 초래할 수 있다. 1949년 중국 건국 이후, 내몽골 시린궈러맹(锡林郭勒盟)의 인구는 3.5배 증가하였고, 가축의 수량도 11배 늘어났다. 이로 인해, 지역의 초원 면적이 급격히 줄어 들게 되었으며 식물들은 더 이상 재생이 불가능하여 지역의 사막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2

초원

개척

 인구 증가를 대비하여, 정부는 기존의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한 경제 구조를 개선하여, 초원 지역에 있는 경작지를 개척 후 농작물 등을 재배해 지역의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생산력을 증가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초원에 대한 과도 개척은 초원의 면적을 급격히 줄였고, 사막화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하였다.

줄어든 초원 면적 _edited
풍식 된 경작지
사막화 된 후룬베이얼 초원
사막화 된 후룬베이얼 초원

 초원에 대한 과도 개척은 초원의 면적을 급격히 줄였고, 사막화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하였다. 내몽골의 후룬베이얼은 초원 개척 정책의 대표적인 피해 지역이다. 중국 건국(1949)시, 후룬베이얼의 경작지 면적은 227.13만ha였으나, 3차례의 개척 이후 경작지 면적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까지, 국가가 직접 농장을 운영하게 된 후 경작지는 663.3만 ha에 달했으며, 1979년에는 929.48만 ha에 도달했다

 내몽골은 풍부한 광산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지역 경제와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석탄을 포함한 광산 자원을 지속적으로 채굴하였다. 내몽골의 시린궈러맹(锡林郭勒盟) 은 이로 인해 큰 피해를 입게 되는데, 그 지역에는 총 4개의 노천 채굴장이 있으며, 총 면적은 517㎢이나, 단 2개의 채굴장이 파괴한 초지 면적은 약 7만㎢에 달했고, 토지의 유실 면적은 약 10만 ㎢에 달했다. 또한, 내몽골 훠린궈러(霍林郭勒)시의 채굴기업도 10여년간의 석탄 채굴로 85만㎢의 초원을 파괴하였다. 토지 속의 숨겨진 광물을 채굴하는 것은 토지의 고유 구조 및 생태를 근본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석탄을 채굴한 후, 세척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는 대량의 물이 사용된다. 이는 물 자원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토지의 수분이 결핍됨으로 사막화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할 수 있다.

3

​자원

채굴

​내몽고 사막화 문제에 대해 더 알아보기

by LEAF&GO
bottom of page